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kkwangji 님의 블로그

💼 포괄임금제란? 개념부터 장단점, 법적 쟁점까지 총정리 본문

금융경제관련

💼 포괄임금제란? 개념부터 장단점, 법적 쟁점까지 총정리

kkwangji 2025. 4. 30. 12:31

1. 포괄임금제란?

포괄임금제란 기업이 근로자에게 매월 정해진 임금을 지급하면서, 기본급 외 초과근로수당(연장·야간·휴일근로 등)을 미리 포함해 일괄적으로 지급하는 임금 지급방식입니다. 즉, 실제로 몇 시간 추가 근무를 했는지와 관계없이 ‘포괄적으로’ 급여가 산정됩니다.

📌 예시
월급 300만 원 → 기본급 250만 원 + 시간외수당 50만 원(고정)
→ 실제 초과근로시간이 달라도 항상 동일한 50만 원 지급


2. 포괄임금제의 유형

유형 설명
정액급 방식 연장·야간·휴일수당을 고정 금액으로 정하여 포함
정액시간 방식 연장·야간·휴일근로를 고정 시간으로 산정해 급여에 포함
사업장 일괄 방식 전 직원에게 포괄임금제를 적용하는 방식

3. 포괄임금제의 장점과 단점

항목 장점 단점
사용자 급여계산 간편, 인건비 예측 쉬움 초과근로 수당 미지급 시 법적 분쟁 발생 위험
근로자 일정한 급여로 예측 가능 실제 근로시간과 보상 불일치, 장시간 근로 유발 가능

4. 법적 쟁점 및 주요 판례

🔸 대법원 판례

“근로자의 개별 근로시간이나 초과근로 여부에 관계없이 고정된 수당을 지급하는 경우라도, 실제 근로시간이 해당 수당에 미치지 못하면 그만큼 임금 미지급에 해당할 수 있다.
(대법원 2012다89399 판결)

🔸 포괄임금제는 무조건 허용되지 않음

  • 근로계약서에 명확한 약정이 있어야 하며,
  • 직무 특성상 근로시간 산정이 곤란한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인정됨
  • 2018년 고용노동부는 포괄임금제를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제도’**로 명시하고, 남용 금지를 권고

5. 고용노동부의 가이드라인 (2018년 개정)

  • 포괄임금제는 정확한 시간관리와 급여 산정이 어려운 직종에만 제한적으로 인정
  • 근로계약서에 항목별로 구체적인 금액 명시 필요
  • 실제 근로시간이 고정급을 초과할 경우, 추가수당 별도 지급해야 함

6. 마무리 요약

포괄임금제는 근로자의 실제 노동시간과 무관하게 정액 수당을 포함해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이지만,
직무의 특성과 시간관리의 가능성에 따라 제한적으로 인정되며,
남용 시 불법이 될 수 있어 근로계약서 작성과 실제 근무기록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