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kkwangji 님의 블로그

인컴(수익)이 발생하는 자산 본문

금융경제관련

인컴(수익)이 발생하는 자산

kkwangji 2025. 4. 1. 16:45

1. 배당주

  • 설명: 기업이 이익 중 일부를 주주에게 배당으로 지급
  • 장점: 안정적인 배당수익 + 주가 상승 가능성
  • 예시: 고배당 우량주, ETF (예: SPYD, HDV)

2. 채권 (Bond)

  • 설명: 정기적인 이자를 지급하는 유가증권
  • 장점: 안정성 높고 이자수익 확정
  • 종류: 국채, 회사채, 지방채, 고수익 채권 등

3. REITs (부동산 투자신탁)

  • 설명: 부동산 임대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
  • 장점: 부동산 간접투자 + 고배당
  • 예시: 미국 REITs (VNQ 등), 한국 리츠 (롯데리츠, 신한알파리츠 등)

4. 임대 부동산

  • 설명: 주택/상가 등 임대를 통한 월세 수익
  • 장점: 실물자산 + 장기 인플레이션 방어
  • 단점: 초기 자본 많고 관리 필요

5. P2P 투자

  • 설명: 개인 간 대출에 투자해 이자 수익 확보
  • 장점: 높은 수익률 가능
  • 단점: 부실 리스크 존재

6. 배당형 펀드/ETF

  • 설명: 배당 중심의 종목에 투자하는 펀드
  • 장점: 분산투자 + 자동 배당관리
  • 예시: KB 고배당 펀드, SCHD, VYM

 

✅ 인컴 자산별 정리

자산 종류 주요 리스크 세금 기본 전략
배당주 주가 하락, 배당 감소 배당소득세 (15.4%) 고배당 우량주 중심, 장기 보유, 경기방어주 선호
채권 금리 상승 시 가격 하락, 발행자 신용 이자소득세 (15.4%) 금리 전망 고려, 분산 투자, 만기 보유 전략
REITs 부동산 경기, 금리 상승 배당소득세 (15.4%), 일부 분리과세 가능 고배당 리츠 위주, 분산 투자, 환율 고려 (해외 리츠)
임대 부동산 공실, 유지비, 규제 리스크 종합과세 (임대소득세, 재산세 등) 지역 분석, 관리 효율화, 수익률 > 대출이자율 여부 체크
P2P 투자 원금 손실, 플랫폼 부실 이자소득세 (15.4%) 분산 투자 필수, 플랫폼 신뢰도 체크, 소액 분산
배당형 ETF/펀드 시장 리스크, 수수료 배당소득세 (ETF 기준 15.4%) ETF는 저비용 중심, 펀드는 수수료 체크, 분기배당 활용

💡 공통 참고사항

  • 세금: 배당/이자소득은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연 2,000만 원 초과 시 누진세 적용)
  • 분산 투자와 장기 보유가 리스크를 줄이는 핵심 전략
  • 환헤지 여부, 세후 수익률 확인도 중요 (특히 해외 자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