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용어 정리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
kkwangji
2024. 7. 3. 07:55
기업이 자기자본(주식 지분)을 통해서 1년동안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ROE가 20% 라는 말은 자본을 10억 투자했을 때, 이익을 2억원 냈다는 말이다.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 대비 효율적인 영업활동으로 당기순이익을 많이 낸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ROE는 주식투자자에게 투자의 이익 척도를 알려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ROE가 높다 낮다고 평가하는 기준은 다양할 수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회사채 수익률 또는 국채 수익률 보다는 높아야 의미가 있다고 보겠다.
투자자가 이런 회사채, 국채, 또는 시중금리보다 수익률 낮다면 위험성이 있는 주식에 굳이 투자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ROE가 높다고 꼭 투자에 적합하다고는 할 수는 없다.
일회성으로 ROE가 높게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ROE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때에 투자자가 투자하기 적합하다 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