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관련

화폐의 착각(Money Illusion)

kkwangji 2025. 1. 14. 08:31

사람들이 **실질가치(real value)**보다 **명목가치(nominal value)**에 더 집중하거나 영향을 받는 심리적 현상을 말합니다.

 

아래는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이를 설명합니다.


예시 1: 월급 인상

  • 상황: 회사에서 직원의 월급을 5% 올렸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기에 물가가 7% 상승했습니다.
  • 명목적 관점: 월급이 올랐으니 더 부유해졌다고 생각함.
  • 실질적 관점: 물가상승률(7%)이 월급 인상률(5%)보다 높으므로 실제 구매력은 줄어듦.
  • 결론: 월급의 "숫자"만 보고 기뻐하지만, 실질적으로 생활은 더 어려워지는 경우입니다.

예시 2: 고정 금리와 변동 금리 대출

  • 상황: 은행에서 2%의 고정 금리와 1%의 변동 금리 대출 상품을 제시했는데, 변동 금리를 선택했습니다. 몇 년 후 인플레이션이 5%가 되었습니다.
  • 명목적 관점: 변동 금리(1%)가 더 저렴하다고 생각하여 선택.
  • 실질적 관점: 고정 금리를 선택했다면 인플레이션(5%) 때문에 실질 상환 부담이 줄었을 텐데, 변동 금리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금리가 상승해 더 큰 부담이 됨.
  • 결론: 초기의 낮은 숫자만 보고 판단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잘못된 선택이 되는 경우입니다.

예시 3: 자산 가격 착시

  • 상황: 한 사람이 10년 전에 1억 원에 산 아파트가 현재 2억 원으로 올랐다고 좋아합니다.
  • 명목적 관점: 아파트 가격이 2배 올랐으니 큰 수익을 얻었다고 생각.
  • 실질적 관점: 같은 기간 물가가 매년 평균 4%씩 상승했다면, 실질적인 수익률은 낮거나 오히려 손해일 수 있음.
  • 결론: 숫자만 보고 수익을 과대평가한 사례입니다.

왜 중요한가?

화폐의 착각은 개인의 재무 계획, 투자, 소비 및 대출 결정에 잘못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항상 실질가치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며 판단해야 합니다.

예컨대, 높은 명목이자율 상품이나 급여 인상 제안을 받을 때,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실질가치를 계산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