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wangji 2025. 1. 14. 08:02

M2는 통화량 지표 중 하나로, 경제에서 유통되고 있는 돈의 양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중앙은행이나 경제학자들이 경제 상황을 분석하고 통화정책을 수립할 때 중요한 참고 지표로 활용됩니다. M2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합니다:


M2의 구성

  1. M1 (좁은 의미의 통화):
    • 현금: 사람들이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 지폐와 동전.
    • 요구불 예금: 은행에 맡겨져 있지만 언제든지 인출 가능한 예금.
    • 수표 발행 가능 예금: 수표로 사용할 수 있는 예금.
  2. 준통화:
    • 정기예금: 일정 기간 인출이 제한되는 예금.
    • 저축성 예금: 자금 출금이 가능하지만 금리가 낮고 일정 조건이 있는 예금.
    • 양도성 예금증서(CD): 특정 기간 동안 고정된 금리를 제공하는 예금증서.

M2의 특징

  • 유동성: M1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단기간에 현금화가 가능.
  • 경제 분석의 활용성:
    • M1은 소비자들의 단기적인 소비 패턴을 반영하지만, M2는 더 폭넓은 경제 활동(소비, 저축, 투자 등)을 반영.
  • 통화정책:
    • 중앙은행(예: 한국은행, 미국 연준)이 금리, 인플레이션 등을 조절하는 데 M2를 참고.

M2와 경제

  • 증가:
    • M2가 빠르게 증가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있음.
    • 낮은 금리,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주요 원인일 수 있음.
  • 감소:
    • M2가 감소하면 경기 둔화 또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있을 수 있음.
    •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

M2와 다른 지표의 비교

  • M0: 가장 좁은 통화지표로, 현금만 포함.
  • M1: M0에 요구불 예금과 수표성 예금을 포함.
  • M3: M2에 더해 대규모 예금, 기관 투자 상품 등을 포함(일부 국가에서만 사용).

M2는 경제 전반의 유동성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효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국의 경제상황에 따라 구성 항목과 해석이 약간씩 다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