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관련
🎮 게임이론(Game Theory) 완전 정리
kkwangji
2025. 4. 21. 11:14
🔍 게임이론이란?
**게임이론(Game Theory)**은 여러 **행위자(플레이어)**들이 특정 규칙 아래에서 상호작용할 때, 이들이 어떤 전략을 선택할지 분석하는 수학적 이론이다.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 생물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요약: "상대방의 행동을 고려한 최선의 선택을 분석하는 이론"
🧩 핵심 개념
개념 | 설명 |
플레이어(Player) | 게임에 참여하는 의사결정 주체 |
전략(Strategy) |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있는 행동 방식 |
보수(Payoff) | 전략 선택에 따른 결과 또는 이익 |
균형(Equilibrium) | 모든 플레이어가 자신의 전략을 바꾸지 않을 때 도달하는 상태 |
⚖️ 대표적 개념: 내쉬 균형 (Nash Equilibrium)
존 내쉬(John Nash)가 제안한 개념으로,
모든 참여자가 상대의 전략을 알고 있어도 자신의 전략을 바꿀 유인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예시: 죄수의 딜레마에서 둘 다 자백하는 것이 내쉬 균형
🎲 게임이론의 종류
구분 | 설명 | 예시 |
비협조 게임 (Non-Cooperative) | 플레이어가 각자 이익만 추구 | 죄수의 딜레마 |
협조 게임 (Cooperative) | 연합을 맺고 협력 가능 | 기업 간 전략적 제휴 |
정적 게임 (Static) | 동시에 전략 결정 | 광고 경쟁 |
동적 게임 (Dynamic) | 순차적으로 전략 결정 | 가격 선도 게임 |
제로섬 게임 (Zero-sum) | 한 쪽 이익 = 다른 쪽 손해 | 체스, 포커 |
비제로섬 게임 (Non-zero-sum) | 상호이익 가능 | 환경협약, 무역 |
📌 대표 사례: 죄수의 딜레마 (Prisoner’s Dilemma)
선택 | 상대가 침묵 | 상대가 자백 |
내가 침묵 | 둘 다 1년 | 나는 5년, 상대는 0년 |
내가 자백 | 나는 0년, 상대는 5년 | 둘 다 3년 |
→ 합리적으로 생각하면 자백이 최선이지만, 서로 협력하면 더 나은 결과가 가능함.
→ 협력이 어려운 현실을 보여주는 대표적 모델
🧠 게임이론의 활용 분야
- 경제학: 기업 간 가격 결정, 시장 경쟁
- 정치학: 국가 간 외교, 핵 억지 전략
- 경영학: M&A, 협상 전략
- 심리학: 인간의 협력/갈등 행동 분석
- 생물학: 동물의 생존 전략 (예: 호크-도브 게임)
- IT/AI: 알고리즘 설계, 자율주행차 전략
📝 마무리 요약
항목 | 내용 |
정의 | 전략적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을 분석하는 이론 |
주요 개념 | 플레이어, 전략, 보수, 내쉬 균형 |
유형 | 협조/비협조, 정적/동적, 제로섬/비제로섬 |
활용 | 경제, 정치, 경영, 생물학, IT 등 다양한 분야 |
📘 게임이론은 "상대방을 고려한 나의 선택"을 통해 세상의 많은 의사결정을 설명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실생활의 수많은 선택에서 게임이론적 사고가 힘을 발휘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