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관련

부동산 관련 세금 정리(24년 기준)

kkwangji 2025. 3. 25. 08:36

1. 부동산 취득 시 세금

부동산을 취득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① 취득세

  • 부동산을 취득하면 과세표준(매매가 또는 시가표준액)에 따라 취득세를 내야 합니다.
  • 세율
    • 주택: 1~12% (1주택 여부 및 가격에 따라 다름)
    • 비주택(토지·상가): 4%
    • 법인 취득: 12% (일반 법인의 경우)
  • 부동산 취득세 세율 (주택 기준)
    구분 1주택자 2주택자 3주택자 이상 법인 취득
    1억 원 이하 1.1% 1.1% 1.1% 12%
    1억~3억 원 1.1% 1.1% 1.1% 12%
    3억~6억 원 1.5% 1.5% 1.5% 12%
    6억~9억 원 2.3% 2.3% 2.3% 12%
    9억 원 초과 3.5% 8% 12% 12%

② 농어촌특별세

  • 취득세의 **10%**를 추가 부담 (일부 감면 대상 있음)

③ 지방교육세

  • 취득세의 **20%**를 추가 부담

2. 부동산 보유 시 세금

부동산을 보유하는 동안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① 재산세

  • 매년 6월, 9월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세율
    • 주택: 0.1~0.4%
    • 토지·건물: 0.2~0.5%

② 종합부동산세 (종부세)

  • 공시가격 합산 6억 원(1주택자는 11억 원) 초과 시 부과
  • 세율: 0.5~6% (보유 주택 수 및 가격에 따라 다름)

3. 부동산 매도 시 세금

부동산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① 양도소득세

  • 부동산 매매 차익에 대해 부과
  • 기본공제: 250만 원 (1년 이상 보유한 경우)
  • 세율 (2024년 기준)

② 지방소득세

  • 양도소득세의 10% 추가 부담

4. 부동산 임대 시 세금

임대사업자나 전·월세를 놓을 경우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① 소득세 (종합소득세)

  • 연간 임대소득 2천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 신고
  • 세율: 6~45% (기타 소득과 합산)

② 부가가치세

  • 상가 임대 시 부가세 10% 부과 (주택 임대는 면제)

③ 종합부동산세

  • 전세·월세 포함한 공시가격이 기준 초과하면 과세

5. 상속·증여 시 세금

① 상속세

  • 상속재산이 5억 원 초과 시 과세
  • 세율: 10~50% (누진세율 적용)

② 증여세

  • 증여재산이 일정 금액 초과 시 과세
  • 세율: 10~50%
  • 비과세 한도: 배우자 6억 원, 직계존비속 5천만 원 (10년 기준)

절세 방법 팁

  1. 장기보유특별공제 활용: 3년 이상 보유 시 양도세 절감
  2. 1가구 1주택 비과세: 2년 이상 거주 & 3년 보유 시 12억 원까지 비과세
  3. 부동산 증여 활용: 공제한도를 활용한 증여로 세금 절감 가능
  4. 임대사업자 등록: 세금 감면 및 장기임대 혜택 고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