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경제#금융#부동산#부동산세금#양도소득세#종합부동산세
- 경제#금융#선택#전략적선택#전략적투자#상호작용#게임이론
- 종합소득세
- 경제이론#데이비드리카도#차액지대론
- 경제#금융#주가선반영#주가결정요인
- 경제#금융#낙인효과#부정적이미지#꼬리표#고정관념
- 경제#금융#투자자#유상증자#유상증자의 이유
- 경제#금융#기업#외부감사#감사보고서#의결거절
- 경제#금융#투자자산#인컴#수익창출
- 경제#금융#급여#통상임금#임금산정
- 경제#금융#caprate#수익률#roe#자기자본수익률#ltv#담보인정비율#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공실률
- 경제#금융#etf#손실방어#수익상한설정#buffer#cap#버퍼형etf
- 경제#금융#이론#낙수효과
- 경제#금융#부동산#부동산세금#취득세#양도소득세#종합부동산세
- 경제#금융#연금#국민연금#개인연금#퇴직연금#irp#개인연금저축#노후소득#노후현금흐름
- 경제#금융#경제심리지수#기대#심리
- 경제#금융#연금#연금전략#3층연금#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irp#연금저축#과세이연#세금공제
- 연금투자#연금저축보험#연금저축펀드#보험사#증권사#노후대비#개인연금#사적연금
- 게임이론#선택#상호작용#의사결정#경제#금융#활용
- 경제#금융#글로벌가치사슬#국제화
- 경제#금융#정보의비대칭성#역선택#도덕적해이#시장실패#공시제도강화#신용평가제도활용#정보접근성향상
- 경제용어#금융용어#한국은행#2023#경제금융용어
- 경제#금융#주식투자#주가예측#랜덤워크이론#안전한투자
- 경제#금융#부실채권#npl#npl투자
- 경제#가격차별화#수익극대화
- 경제#금융#상장#기술특례상장#기술주#한국주식
- 경제#금융#디지털화폐#cbdc#중앙은행디지털화폐#법정통화
- 경제#금융#주식#미국주식시장#블랙먼데이#프로그램매매#버블
- 경제#금융#소비자물가지수#cpi#투자심리
- 경제#금융#노동시장#포괄임금제#임금제도
Archives
- Today
- Total
kkwangji 님의 블로그
유동성(liquidity)이 중요한 이유 본문
1. 거래의 편리성
유동성은 자산을 쉽게 현금으로 전환하거나 현금을 사용해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즉시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 고유동성 자산: 현금, 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 계좌) 등은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유동성이 낮은 자산은 거래 시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비용(예: 수수료)이 발생합니다.
- 따라서 유동성이 높을수록 경제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2. 비상 상황 대응
유동성이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함입니다.
- 갑작스러운 의료비, 긴급 생활비 등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했을 때 유동성 높은 자산이 필요합니다.
- 만약 모든 자산이 부동산이나 장기 투자 상품처럼 유동성이 낮은 형태로 묶여 있다면, 긴급 자금을 마련하기 어렵거나 손실을 감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
3. 경제 및 시장 안정
유동성이 부족하면 경제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습니다.
- 금융 시장의 유동성: 거래량이 많고 자산이 잘 거래될수록 시장은 안정적입니다.
- 반대로 유동성이 낮으면 매도와 매수의 균형이 맞지 않아 시장 가격이 급격히 변동할 수 있습니다(시장 붕괴 위험).
4. 투자 및 자산 관리
- 유동성이 높은 자산은 필요할 때 쉽게 현금화할 수 있으므로, 다른 투자 기회를 잡거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유동성이 낮은 자산(예: 부동산, 예술품)은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현금화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5. 심리적 안정
유동성이 높으면 자산 소유자가 심리적 안정감을 느낍니다.
- 현금을 보유하고 있거나,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자산이 있으면 경제적 불안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만 보유하면 자금이 필요할 때 스트레스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6. 기업 및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 기업: 기업은 단기 부채 상환, 급여 지급 등 운영 자금에 유동성을 필요로 합니다. 유동성이 부족하면 파산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 국가 경제: 유동성이 높은 금융 시스템은 경제 충격을 완화하고, 투자와 소비를 촉진해 경제 성장을 돕습니다. 반대로 유동성이 부족한 경우, 금융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결론
돈의 유동성은 개인, 기업, 시장, 국가 모두에게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적절한 유동성을 유지하면 긴급 상황에 대비하고, 경제 활동을 원활하게 유지하며, 더 나아가 투자와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유동성이 낮은 자산과 높은 자산의 적절한 균형을 맞추는 것이 재무 관리에서 핵심입니다.
반응형
'금융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츠(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ETF (0) | 2025.01.03 |
---|---|
금리 하락기에 TDF 투자 (4) | 2025.01.02 |
연금저축펀드, IRP 등 연금 개시 후에는 납입 가능한가? (1) | 2025.01.02 |
TDF의 상품 구성 (1) | 2024.12.31 |
TDF(Target Date Fund)란 무엇인가? (0) | 2024.12.31 |